카카오3 카카오의 중장기 성장을 위한 청사진 중장기 성장 동력 : 오픈 채팅 카카오는 6월 8일 애널리스트 대상 간담회를 통해 중장기 성장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본업에 있어서는 비지인, 관심 기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오픈 채팅을 통한 광고 지면 확장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픈 채팅은 비지인 기반으로 채팅방 내로 광고 지면 확대 가능학고, 팬덤 등 공동 관심을 기반으로 한 공간으로 기존 카카오톡에 비해 영상 광고 적용이 용이해 관고 단가 상승효과가 기대됩니다. 비즈니스 모델은 1차적으로 오픈 채팅방 내 관고 도입을 통한 수익을 카카오와 방장이 셰어 하는 형태를 도입하고, 향후 오픈 채팅방 자체를 방장이 유료화할 수 있도록 고도화할 전망입니다. 오픈 채팅앱을 별도로 출시한 후 카카오 생태계 트래픽을 기반으로 활성 이용자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고,.. 2022. 6. 14. 플랫폼 고성장과 컨텐츠 확장의 2022년 카카오 실적 전망 카카오톡 및 페이의 지속 성장 카카오톡의 광고 상품인 톡채널, 비즈보드를 구매 채널로 발전시킨 커머스 플랫폼화, 선물하기 기능의 구매빈도와 객단가 상승효과, 지그재그의 성장 효과를 통해 2022년 커머스 거래액 10조 원 달성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2년 비즈보드 매출의 견고한 성장이 지속되고, 메시지형 광고의 공격적인 확장을 통해 시장 평균(13.4%)을 상회하는 광고 매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톡비즈 부문 광고의 경우 40.7%로 시장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카카오페이 TPV는 전년 대비 32.1% 증가한 130.5조이며, 매출은 45.2% 성장한 6,658억 원 수준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결제 서비스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규제 환경 적응으로 금융서비스 정상화가 이.. 2022. 3. 14. 카카오페이 공모부터 상장발표까지 총정리 한국거래소는 카카오페이가 지난달 말 공모 청약을 시작하여 오는 11월 3일(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는 소식과 함께 확정공모가는 9만 원으로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11조 7,330억으로 발표함에 따라 공모부터 상장까지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카카오페이 공모 카카오페이의 이번 공모 청약은 신규상장 최초로 일반 청약자 대상으로 물량 100%를 균등 배정하여 공모주 청약의 진입 장벽을 낮췄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누구나 이로운 금융이라는 기업의 철학에 맞춰 청약 증거금 90만 원만 있으면 누구나 동등한 공모주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기존 공모 관행을 깨는 행보를 보였습니다. 비례 배정 방식으로 청약 증거금 경쟁률을 높여 일시적인 외적 흥행을 도모하기보다는 더 많은 사람들이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는 .. 2021. 11.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