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8

리비안과 루시드의 생산과 판매 실적 '리비안' 출시 이후 1분기 말까지의 총 인도량 2,147대 리비안은 전기 픽업 R1T, 전기 SUV R1S, 상용 전기밴 EDV 등 3종류의 전기차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R1T는 작년 9월, R1S와 EDV는 12월부터 인도를 시작하였습니다. 리비안은 2021년 총 1,015대를 생산하여 920대를 인도하였고, 2022년 1분기에는 2,553대를 생산하여 1,227대를 인도하였습니다. 출시 이후 1분기 말까지 총 생산량은 3,568대, 인도량은 2,147대입니다. 리비안은 올해 연간 생간략 목표를 기존 5만 대에서 2.5만대로 하향했으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반도체 부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리비안은 생산량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연간 2.5만 대의 목표를 달성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 2022. 6. 20.
주가 저평가된 현대공업의 성장 기대 저평가된 주가 현대공업은 2021년 말 기준으로 순현금이 530억 원이고, 부채비율도 33%에 불과할 정도로 재무구조가 우량하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완성차들의 생산차질이 발생되고 있으나, 제네시스 브랜드와 전기차 모델들의 부품 수급이 더 원활하여 관련 리스크가 줄어들 것이며, 성장 추진력이 강하기 때문에 주가 상승이 기대됩니다. 2021년 실적 현대공업의 2021년 매출액은 2,493억 원(19%), 영업이익은 131억 원(4%)을 기록하였습니다. 고객사의 생산 감소 여파로 중국 법인들의 매출액이 2% 감소하였으나, 제네시스와 아이오닉 브랜드 납품이 증가한 한국의 매출액이 20% 증가하여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인건비 증가로 수익성이 다소 하락하였으나, 제네시스 매출액이 자동차 .. 2022. 3. 19.
대만의 폭스콘, 중동 공장 건설 추진 리스크 분산의 폭스콘 미국 애플의 최대 협력사인 대만의 폭스콘이 미·중간 갈등에 따른 지정학적 취약점 극복과 사업 다각화를 위해 중동으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입니다. 폭스콘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약 90억 달러 규모의 다목적 공장을 설립하는 방안을 사우디 정부와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공장에서는 반도체, 전기차 부품, 디스플레이 등 기타 전자제품을 생각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사우디 정부는 폭스콘이 제안한 듀얼라인 반도체 제조시설인 파운드리를 사막에 개발 중인 스마트 신도시 네옴(NEOM)시티에 건설 예정입니다. 폭스콘은 지난해 승용차용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인프라에 중점을 둔 중동에서 전기차 프로젝트를 구축할 계획을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탈석유화의 사우디 사우디는 석유 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벗어.. 2022. 3. 17.
볼보자동차와 지리홀딩스의 전기차 '폴스타' 스웨덴 볼보자동차와 중국의 지리홀딩스가 합작하여 만든 폴스타가 한국에 상륙하게 됩니다, 올해 1월 18일 전기 세단 폴스타 2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폴스타의 한국 진출 폴스타는 지난해 12월 21일 서울 한남동의 '데스티네이션 서울'에서 브랜드 출시 행사를 열고, 2024년에 출시할 콘센트카 폴스타 5를 전시하였습니다. 폴스타는 2026년까지 국내에서 3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로 올해 폴스타 2와 전기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폴스타 3을 출시하고 매년 한 종 이상의 전기차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2024년까지 50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하여 전국 10곳에 전시장을 오픈할 계획이며, 차량은 100% 온라인으로 판매할 계획입니다. 올해부터 국내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변경됨에 따라 .. 2022. 1. 2.
포스코케미칼과 GM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 설립 포스코케미칼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합작사를 미국에 설립하는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합작사 설립계획 지난 12월 2일 포스코케미칼과 GM은 양극재 합작사를 설립해 북미 지역에 대규모 생산 공장을 건립하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합작법인은 2024년부터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해 GM의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얼티엄셀즈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신설 합작법인은 배터리 셀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CAM, Cathode Active Material) 가공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로써 포스코케미칼은 배터리 소재업체 최초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합작사를 설립해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이 예상되는 북미에 배터리 핵심소재 공급망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2021.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