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외이슈분석27

오미크론(OMICRON) 변이에 대한 주요 국가 이슈 전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다시 확진자 급증 및 도시가 봉쇄되는 가운데 주요 국가들의 다양한 반응들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국 - 더 이상 코로나19 봉쇄는 없다. 미국 뉴욕 증시에서 재택 관련 기술주인 핸드메이드 위주 전자상거래 엣시, 식품 배달 도어대시, 동영상 회의 줌, 전자서명 도큐사인 등 종목들이 급락하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이 위협적인 상황에서 재택관련주가 급락한 것은 어떤 일이 발생하든지 무관하게 미국에서 더 이상의 봉쇄는 없다는 것에 투자자들이 베팅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팬데믹 시대에 가장 사랑받았던 줌(ZOOM)은 지난주 16.5% 추락해 52주 만에 최저가를 경신하였으며, 엣시도 지난주 20.6%, 도어대시는 16%, 넷플릭스는 9.5%, 도큐사인은 42% 폭락.. 2021. 12. 5.
포스코케미칼과 GM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 설립 포스코케미칼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합작사를 미국에 설립하는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합작사 설립계획 지난 12월 2일 포스코케미칼과 GM은 양극재 합작사를 설립해 북미 지역에 대규모 생산 공장을 건립하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합작법인은 2024년부터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해 GM의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얼티엄셀즈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신설 합작법인은 배터리 셀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CAM, Cathode Active Material) 가공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로써 포스코케미칼은 배터리 소재업체 최초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합작사를 설립해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이 예상되는 북미에 배터리 핵심소재 공급망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2021. 12. 5.
네이버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코로나19로 인해 메타버스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는 가운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검색엔진 네이버의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가 최근 다양한 투자를 받으며 주목되는 포인트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토퍼 네이버는 메타버스를 운영하는 네이버Z라는 자회사를 2018년 8월 신설하였으며, 2020년 5월 물적분할을 통해 네어버Z로 분사해 자체적인 아바타 플랫폼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확장하였습니다. 네이버Z는 2018년 8월 제페토 서비스를 출시하여 한국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 미국 등 전 세계 200여 국가에서 1억 3천만 명 이상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온라인 상에서 또 다른 나의 아이덴티티를 창조함으로써 나이, 성별, 인정, 지역을 넘어서는 친구도 사귈 수 있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어디든 갈 수 있는 가상 .. 2021. 12. 4.
국내외 전기차 전문 개조 업체 내가 가지고 있는 차량을 전기차로 개조하거나, 전기차 개조 키트를 이용해 스스로 전기차를 개조할 수 있게 하는 국내에 업체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전기차 개조 현황 미국과 일본, 유럽 등에서 전기차 시대를 맞이하여 낡은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개조하는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영국은 각 주별로 전기차 구매 보조금, 인프라 구축에 따른 보조금 지원과 세제 혜택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내연기관차를 개조하는 비용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트럭, 버스, 택시 사업자를 대상으로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개조하는 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한국은 아직까지 전기차 개조 차량에 대해 보조금 미지원 및 전기차량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해외 리서치회사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 .. 2021. 12. 2.
페이스북의 새이름 메타(Meta)의 전망 미국의 대표적인 소셜네트워크 기업인 페이스북이 현지시간 10월 28일 새로운 이름을 공개하였으며, 앞으로 메타버스를 주력사업으로 하기 위해 메타(Meta)라는 기업명으로 변경하였다고 저커버그 CEO의 발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명 변경 페이스북은 내부 고발자의 폭로, 정치권과 언론의 비판, 반독점, 개인정보유출, 이익 우선 등의 꼬리표가 연이어 붙으면서 비판의 대상으로 궁지에 몰리게 되었습니다. 혁신과 소통의 상징인 페이스북은 '메타'라는 새로운 사명으로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해 반전을 꾀하려는 전략과 가상공간을 선도하는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SNS 시장의 포화로 인해 플랫폼의 다각화를 시도한 평가와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에 많은 젊은 층이 흡수됨에.. 2021. 11. 7.